본문 바로가기

노션 사용법

노션 '/' 눌렀을 때 기본 기능 사용법

노션에서 '/'을 눌렀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노션에서 '/'를 누르는 행위를 '명령어'라고 부릅니다. 명령어란, 노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을 불러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션은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기록할 수 있도록 많은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명령어는 기본 블록, Notion AI, 미디어, 데이터베이스, AI 블록, 고급 블록, 인라인, 임베드 등으로 14개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본 블록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를 눌렀을 때 [기본 블록] 기능
1. 텍스트
2. 페이지
3. 할 일 목록
4. 제목 텍스트
5. 표
6. 글머리 기호 목록
7. 번호 매기기 목록
8. 토글 목록
9. 인용
10. 구분선
11. 페이지 링크
12. 콜아웃

 
 
 
 
 

1. 텍스트

일반 텍스트를 사용해 쓰기를 시작하세요.

 
노션 페이지를 처음 생성하면 빈 화면이 보입니다. 빈 화면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클릭을 하면 블록이 생성되는데요. 이때 '글을 작성하거나 AI를 사용하려면 '스페이스' 키를,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 키를 누르세요'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 상태에서 키보드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고, '/' 키를 누르면 명령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 기능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텍스트] 기능인데요. 블로그에서 글을 쓰는 것처럼 기본값으로 입력할 수 있는 형태가 텍스트이므로, [텍스트] 기능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겠다고 노션에게 명령하는 것과 같습니다. 기본값으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 키를 누르고 [텍스트]를 선택하지 않아도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으니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기능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페이지

이 페이지 안에 하위 페이지를 만드세요.

 
노션은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는 데 최적화된 앱입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처음 접속했을 때 홈 화면이 뜨고, 홈 화면에서 상품을 클릭했을 때 상품 상세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처럼 노션의 페이지 안에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만들 수 있어요. 이를 하위 페이지를 만든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노션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든다면, 첫 페이지에 자신을 소개하는 글을 적고 프로젝트 페이지를 하나씩 만들 수 있습니다. 한 마디로 페이지 안에 페이지 만드는 것을 하위 페이지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3. 할 일 목록

할 일 목록으로 작업을 추적하세요.

 
노션은 시간 관리로도 많이 사용하는 앱인데요, 이 때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 [할 일 목록] 기능입니다. 체크 박스를 만들어 해야 할 일들을 작성하고 완료하면 체크 박스를 눌러서 체크를 할 수 있습니다. 노션은 모바일과 아이패드에 앱을 다운 받아 노션에서 작성한 내용들을 연동할 수 있어요. 그래서 자기 전에 내일 해야 할 일들을 목록으로 만들어 두고 일상에서 휴대폰으로 완료한 목록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4. 제목 텍스트

제목1 : 섹션 제목(대)
제목2 : 섹션 제목(중)
제목3 : 섹션 제목(소)

 
평소에 메모를 하거나 일기를 쓸 때 제목과 내용을 구분해서 작성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노션에서도 글을 작성할 때 제목과 내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텍스트 크기를 바꿔주는 기능인데요. 기본적으로 [제목 텍스트]가 적용된 글자는 볼드체가 적용됩니다. 그리고 제목도 글자 크기가 가장 큰 텍스트, 중간인 텍스트, 가장 작은 텍스트로 페이지 내용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5. 표

간단한 표를 페이지에 추가합니다.

 
노션을 사용할 때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처럼 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표의 제목과 내용을 색상으로 구분할 수도 있고, 표의 가로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표에서 중요한 것은 데이터베이스와 표는 다른 기능이라는 것입니다. 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칸을 만들어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면, 데이터베이스는 입력한 내용을 데이터화하여 차트로 만들거나, 페이지의 리스트를 모아보는 등 기능성 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와 다른 점이 있다면, 표에서 칸을 추가하기가 쉽습니다. 표를 생성했을 때 칸을 추가하는 [+] 모양을 누르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표에서 내용을 입력할 때 노션에서 생성한 페이지 목록을 링크로 걸어둘 수도 있습니다.

 
 
 
 
 
 
 

6. 글머리 기호

간단한 글머리 기호 목록을 생성하세요.

 
글머리 기호는 쉽게 말해 일상에서 리스트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동그라미 표시 같은 것입니다. 불렛 포인트를 글머리 기호라고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노션에서 글머리 기호를 누르고 들여 쓰기('→' 키)를 누르면 글머리 아래에 하위 글머리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저는 혼자 해 먹기 좋은 레시피를 발견했을 때, 음식 이름과 재료, 방법을 글머리 기호로 적어두고 사용합니다. 모바일로 바로 찾기도 쉽고 보기도 편합니다.

 
 
 
 
 
 

7. 번호 매기기 목록

번호가 매겨진 목록을 생성하세요.

 
만약 순서를 매겨야 하거나, 어떠한 항목을 숫자로 표기하고 싶을 때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굳이 '/' 키를 실행하지 않아도 숫자와 마침표를 입력하면 노션에서 자동으로 번호를 매겨 목록으로 만들어줍니다. 만약 번호 매기는 목록으로 작성하고 싶지 않다면, ctrl+z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번호 매기는 형태로 내용이 작성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능 또한 [글머리 기호]처럼 들여 쓰기('→' 키)를 누르면 번호 아래에 구분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번호 목록과 헷갈리지 않도록 알파벳으로 리스트가 만들어집니다.
 

 
 
 
 
 
 

8. 토글 목록

토글하면 콘텐츠를 안에 숨기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

 
토글은 웹사이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기능으로, 노션에서도 메모를 할 때 내용을 숨기거나 펼칠 수 있도록 입력하는 기능입니다. 자세히 보고 싶을 때 입력한 내용이 나오도록 구성하고 싶은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9.  인용

인용문을 작성하세요.

 
인용문이 아니어도 입력한 내용을 구분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고 내용을 입력하면 사이드바가 생성되면서 내용이 구분됩니다. 노션을 꾸미거나 특정 내용을 사이드 바로 구분하고 싶을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저는 노션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해당 연도에 작업한 일들을 구분하고 싶어서 [인용] 기능을 사용하기도 했어요.

 
 
 
 
 
 
 
 

10. 구분선

블록을 시각적으로 나눕니다.

 
노션에서 텍스트 내용을 많이 작성하거나, 정보 유형에 따라 내용을 구분하고 싶을 때 구분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분선은 1개 블록에 1개의 구분선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구분선 바로 옆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없지만, 콘텐츠 영역을 구분할 때 구분선을 활용하면 페이지 내용을 깔끔하게 정돈할 수 있습니다.

 
 
 
 
 
 
 
 

11. 페이지 링크

기존 페이지를 링크하세요.

 
메모 도구 측면에서 노션의 가장 큰 장점은 url 공유입니다. 노션으로 작성한 페이지를 url 형태로 외부 사이트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공유할 수도 있고, 노션 앱 내에서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션에서 참고할 자료로 이전에 생성한 페이지를 링크하고 싶을 때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위 페이지] 기능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미 생성된 페이지를 링크로 불러오느냐 아니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하위 페이지]는 페이지 안에 새로운 페이지를 하나 더 만드는 것이고, [페이지 링크]는 페이지 안에 이미 생성되어 있는 페이지를 불러오는 것입니다.

두 기능을 페이지의 아이콘 모양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 [페이지 링크]는 화살표 아이콘 모양이 함께 첨부되어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사용자가 새롭게 생성한 페이지인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인지 구분할 수 있어요.
 
 
 
 
 
 
 

12. 콜아웃

돋보이는 글을 작성하세요.

 
콜아웃은 텍스트를 상자 안에 넣는 모양으로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를 입력하고 블록의 배경색만 바꾸는 것보다 내용 자치를 박스로 묶어서 시각적으로도 예쁘고, 가독성도 좋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콜아웃]을 실행하면 박스가 만들어지고, 해당 박스의 내용을 대표적으로 표현하는 아이콘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박스의 색상 또한 블록의 색상을 바꾸는 것처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요. 콜아웃으로 내용을 입력했을 때 시각적으로 내용을 구분하기 좋은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노션에서 '/'을 눌렀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블록 기능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노션을 처음 사용하실 때 알아두면 좋은 기본 기능들이니 이 글을 보고 따라하며 사용법을 익혀보시길 바랍니다. 다음 편에서는 명령어 카테고리 14개 중 미디어 기능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 키를 누르는 것 = 노션에서 명령어 기능을 부르는 것
  2. 명령어 기능은 14개 카테고리로 구성됨
    1) 기본 블록
    2) Notion AI
    3) 미디어
    4) 데이터베이스
    5) AI 블록
    6) 고급 블록
    7) 인라인
    8) 임베드
    9) 동기화된 데이터베이스
    10) 가져오기
    11) 전환
    12) 작업
    13) 텍스트 색
    14) 배경색
  3. 이 14가지 중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기본 블록에 대한 기능 소개

 
 
 
 

'노션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션 기본 기능 소개  (0) 2024.09.12
노션 무료로 시작하기  (5) 2024.09.08